목록재할당 (2)
능히 해낼 수 있다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숙·메(숙달을 위한 메모)글을 적으면서 불변성에 대한 이야기는 다루지 않은 것 같아 기억하기 위해 작성해 본다. Immutability(불변성)이란, 단어 그대로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데, 한 번 생성되고 나면 그 뒤에는 변할 수 없고, 이 값은 메모리영역 안에서 변경이 불가하고, 변수 할당 될 때, 완전히 새로운 값이 만들어져 재할당된다 (내가 이해한대로 풀어 설명해보자면 같은 메모리 주소에 새로운 값이 들어 가기도 하고 + 겉모습이 같기도 해서 true가 나오기도 한다!) 데이터는 크게 원시형, 참조형 데이터가 있다. 원시데이터 : String, Number, Boolean, undefined, n..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JavaScript에서는 변수를 선언하는 3가지 방법이 있다. var, const, let 이 있는데, 현 시점으로서는 var를 사용하지 않는다.(정확히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그 이유는 var는 변수 할당 하고 같은 변수이름으로 또 값을 재할당 가능하다는 가장 큰 리스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변수이름에 재할당이 가능하단 소리는 코드가 오천만줄이 됐을 때 똑같은 이름의 변수에 값이 몇개가 할당 됐을지 모를일이라는 것. 더 나아가 의도하지않는 변수 범위내에서 동작할 확률이 높고, 이게 개발자가 눈치채지 못할 수있기때문에 메모리 누수로 이어진다. (이건 개발 지식이 없는 나도 끔찍한 상황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