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6)
능히 해낼 수 있다

나름의 여러 파도가 있었던 2023년 큰 사고없이 무사히 보낸 것 같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프지 않고 건강하면 됐지 뭐. 2022년 12월 퇴사하고 웹 개발 공부를 시작하면서 2023년을 어떻게 보냈는지 키워드와 사족으로 간단히 회고해 보고자 한다. 2022년 12월 퇴사 정말 잘한 선택 하지 않았다면 매일 불안하고 초조해하며 업무 성과는 물론 업무와 나 사이에서 중심 잡지 못했을 듯. 웹 개발 공부 시작 플러터를 한창 하다가 다시 웹을 하니 너무 어렵고 헷갈렸음 플러터 내려놓기 뭔가 플러터가 더 재밌는 것 같아 파고 싶었지만 기본 개념이 부족한걸 너무 느껴 과감히 웹 공부로 전향한게 잘한 선택인 듯. 첫 개발 블로그 시작 개발 블로그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공지에 작성했다시피 '개발'블로그까진 ..

더보기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지난 이커머스 프로젝트에서 react-query 와 redux-tookit을 사용했었다. 둘 다 상태관리가 가능하지만 react-query는 데이터를 캐싱하는 역할로 사용을 했었고 redux-tookit은 전역(글로벌) 상태관리하는 역할로 사용했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두 라이브러리의 역할을 왜 분리해서 진행을 했었는지를 기록해두기 위해 react-query 와 redux-tookit의 역할, 특징 그리고 장점이 어떨 때 극대화 되는지를 적어두려 한다. react-query react-query 는 주로 데이터 요청, 캐싱, 비동기 처리, 서버 상태 관리와 같은 작업에 특화되어 있으며, 개발자가..

더보기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BLoC은 Business Logic Component의 약자로 Flutter에서 상태 관리를 위한 중요한 패턴 중 하나이다. BLoC 패턴을 구현할 때, BLoC 인스턴스의 참조와 의존성 주입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번에 글을 정리해 보면서 BLoC 참조와 의존성 주입에 대한 정의와, 그들의 역할과 차이를 알아보려한다. BLoC 참조 BLoC 참조는 BLoC 인스턴스를 직접 생성하고 다른 부분에서 그 인스턴스에 직접 접근하는 방식을 의미하는데, 이는 전역적으로 BLoC 인스턴스를 사용하거나 싱글톤(Singleton)패턴을 활용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BLoC참조를 사용하면 어디서든 해당 ..

더보기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플러터는 프레임워크(크로스플랫폼)이고 이를 사용하기 위해선 다트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앱 내부 로직과 UI를 작성해야한다. 다트는 JS의 Spread Operator(스프레드 연산자), Optional Chaining(옵셔널체이닝)등의 편리한 문법을 모두 가져옴과 동시에 정적타입 시스템으로 이뤄진 언어이다. 또한 JAVA와 유사하게 객체 지향 코드를 작성할 수 있으면서 간결하게 만들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있다. 비동기 또한 Future 객체를 사용해 진행이 가능하다. 또한 단일 코드베이스로 Android, iOS 네이티브 그리고 웹을 위한 JS코드로 내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2023년 5월에 Go..

✍️✍️✍️ 위 글은 작성자의 지식습득에 따라 추후 퇴고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피드백 환영). 내가 헷갈려서 만드는 '자주 사용하게 되는 플러터 명령어' 및 '계속 검색하면서 사용하게 되는 명령어'까지 모두 작성한 플러터 명령어이다. 명령어 설명 flutter doctor 개발환경 확인 doctor -v 개발환경 확인 과 상세 사항 및 버전 확인 create package_name 새 패키지(프로젝트) 생성: 현 경로에 package_name 디렉토리 생성됨 pub get 의존 패키지 전체 다운로드: pubspec.yaml에 명시된 패키지들을 기준으로 함 pub add 새로운 의존성 추가: pubspec.yaml반영 (package.json이라고 생각하면 됨) pub upgrade 프로젝트 의존성 ..